TREND REPORT | 배달 시장 확대에 따른 외식업 재편

2021-09-16
조회수 16

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홍연아 부연구위원 

사진 | COFFEESPACE DB 



배달 시장 확대에 따른 외식업 재편  



배달 시장 규모가 외식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외식업체의 배달앱/배달 대행 서비스 이용률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들이 매출액 증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으로 가속화된 배달 시장 확대는 외식 업체 매장 규모 축소, 고용인원 감축 등의 대응이 전망됨에 따라 외식 산업 구조적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배달앱의 과중한 광고비·수수료 징수, 배달 기사 단체와의 불공정 계약 등의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



외식산업 매출액이 2018년 138조 원 규모로 10년 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빠르게 성장해왔으나, 코로나19로 2020년 1~11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5.3%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BC카드社가 네이버 데이터랩을 통해 제공하는 거래기록 기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장 큰 영향을 받은 3월의 음식점 매출액은 11조 5,730억 원에서 7조 9,810억 원으로 31% 이상 크게 감소하였으며, 2차 wave가 시작된 9월에도 21.3% 감소한 특징을 보였다.

배달 음식점, 간이 음식 포장 판매 전문점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 매출액이 상당 부분 감소했다는 점은 현재 외식 산업 전반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준다.

 


■3년간 연평균 6.5배 성장한 배달 시장

2020년 코로나19 발생으로 외식을 줄이면서 발생하는 식생활 공백을 배달음식이나 테이크아웃 음식으로 보충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들의 배달음식 이용은 배달 시장 성장에 크게 기여했는데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2.5 단계 이후 음식점, 배달음식 이용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해당 기간 동안 가구 주구입자의 음식점 이용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중이 64.2%를 차지한 반면, 배달음식 이용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20.5%에 달했다.


외식 시장에서 배달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하게 커지고 있다.

통계청의 ‘온라인쇼핑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배달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17조 원으로 추정되는데 2017~2020년 기간 동안 배달 시장은 무려 연평균 85.4%, 약 6.4배의 성장이라는 놀라운 실적을 올렸다.

배달 시장 성장, 연령 및 성별을 불문한 배달앱 이용 확대 추세에 부응해 배달앱/배달대행을 이용하는 외식 업체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배달앱을 이용하는 외식업체 비중은 2017년 6.2%에서 2020년 19.9%로 3배 이상 규모로 확대된 것이다.

코로나19가 종식된 시점을 가정하고, 기준 시점인 2020년 10월 대비 식품 소비 변화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음식점, 배달/테이크아웃 모두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응답(5점 만점에 3점 ‘변함 없음’에 매우 근접)해 배달 시장은 앞으로도 호황을 누릴 전망이다.

따라서 외식이 현재와 비교했을 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나, 배달음식 이용을 줄이는 대체효과를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배달음식 이용의 편리성을 맛 본 소비자와 배달앱 이용자가 증대하고 있고, 외식업체들 역시 시장변화에 적응하며 이미 관련 서비스 이용 확대, 점포 축소, 점원 감축 등을 통한 비용 감소 노력 등이 함께 진행됐기 때문이다.


■이슈 및 대응 방안

코로나19 발생으로 가속화된 배달 시장의 확대는 방문 식사 중심인 외식 산업을 개편하고, 플랫폼 경제 활성화에 따른 업체 간 격차 확대, 업종 다각화 등의 구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외식 업체는 배달·포장 판매가 가능한 형태의 한식 등 메뉴(식단)와 밀키트 등 상품 개발, 매장 운영 효율화, 매장 규모 축소 및 고용 인원 감소, 온라인 마케팅 강화 등의 다양한 과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회식 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재택근무가 일상화되며, 캠핑이나 혼자 놀기가 인기를 끌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변화하는 외식 문화에 대한 선제적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배달 시장의 확대에 따라 배달앱의 과중한 광고비·수수료 징수, 배달 기사 단체와의 불공정 계약 등 영세한 외식 업체의 사업 운영 부담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배달 기사의 이륜차 사고 증가,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 증가 등 사회적 이슈 역시 불거지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 또한 필요하다.

또한 배달을 통한 음식 구매 증가는 식품 위생 및 안전 이슈, 온라인 또는 모바일 구입 환경에서의 소비자 정보 제공 및 피해 구제 등의 영역에서 이슈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꾸준한 모니터링과 정책적 관심이 있어야 한다.

0 0

ISSUE & TREND

- SPOTLIGHT

- ISSUE

- FOCUS

- TREND REPORT

- SPECIAL


Best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로그인 하세요.

Subscribe

Tel. 000-0000-0000
Fax. 00-0000-0000
E-mail. book@book.com
Addr. Seoul, Korea

Hosting by I'MWEB